맨위로가기

아기스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기스 3세는 스파르타의 왕으로, 기원전 338년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부친 아르키다모스 3세가 사망한 후 왕위에 올랐다. 그는 마케도니아의 필리포스 2세가 코린토스 동맹에 스파르타를 포함하려 하자 이를 거부하고, 알렉산드로스 3세 치세에 마케도니아에 대항하여 그리스의 독립을 위해 싸웠다. 기원전 331년 메갈로폴리스 전투에서 안티파트로스가 이끄는 마케도니아 군대에 맞서 싸우다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으로 스파르타의 반란은 실패로 돌아갔다. 아기스는 자녀가 없어 동생 에우다미다스 1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31년 사망 - 알렉산드로스 1세 (에페이로스)
    알렉산드로스 1세는 네오프톨레모스 1세의 아들이자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삼촌으로, 필리포스 2세에 의해 에페이로스의 왕이 되어 이탈리아 남부에서 전쟁을 벌이다 판도시아 전투에서 패배 후 암살당했다.
  • 투창으로 죽은 사람 - 다리우스 3세
    다리우스 3세는 아케메네스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알렉산드로스 대왕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베소스에게 살해당하여 아케메네스 왕조를 멸망시킨 인물이다.
  • 투창으로 죽은 사람 - 샤흐르바라즈
    샤흐르바라즈는 사산 제국의 장군으로 '제국의 멧돼지'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비잔틴-사산 전쟁에서 활약하고 호스로 2세에 대한 반란에 가담하여 왕위를 찬탈했으나 곧 암살당했다.
  • 에우리폰티다이 왕조 - 나비스
    나비스는 쇠퇴하는 스파르타의 국력 회복을 위해 급진적인 정책을 펼쳤으나 내부 반발과 대외 갈등을 야기하여 암살당하고 스파르타는 독립을 잃었다.
  • 에우리폰티다이 왕조 - 아기스 2세
    아기스 2세는 펠로폰네소스 전쟁 시기 스파르타의 왕으로서 아티카 침공, 만티네이아 전투 승리 등을 이끌었지만, 아르고스와의 휴전, 왕위 계승 문제 등으로 논란을 겪었으며, 귀환 중 사망하여 동생 아게실라오스 2세가 왕위를 이었다.
아기스 3세
기본 정보
왕위스파르타
통치 기간기원전 338년 8월 2일 – 기원전 331년
이전아르키다모스 3세
다음에우다미다스 1세
사망기원전 331년 (약 29세)
사망 장소메갈로폴리스
아버지아르키다모스 3세

2. 생애

아기스 3세는 선왕 아르키다모스 3세의 아들이자, 후대 왕 에우다미다스 1세의 동생이다. 그는 카이로네이아 전투가 있던 날에 왕위에 올랐다.[4]

기원전 333년 아기스 3세는 에게 해에서 페르시아 제국 아케메네스 왕조 지휘관 파르나바조스, 아우토프라다테스와 회담을 갖고 마케도니아 왕국의 지배에 대항하여 스파르타의 반란을 일으키면 원조를 받기로 했다.[28]

아기스 3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맞서 리디아의 아케메네스 사트라프인 아우토프라다테스로부터 재정적, 군사적 지원을 받았다.


같은 해 이수스 전투 이후 아기스는 계획을 실행에 옮겼다. 우선 동생 아게실라오스크레타로 보내 스파르타의 이익을 위해 그 섬을 확보하도록 했다.[14]

2. 1. 배경

아기스 3세 시대의 스파르타는 레욱트라 전투에서 테베에게 패배한 이후 군사 강국의 지위를 잃고 펠로폰네소스 반도 내에서 영향력이 축소되었다.[1] 기원전 351년, 아르키다모스와 아기스는 잃어버린 영토 회복을 위해 펠로폰네소스에서 전쟁을 벌였지만, 포키스 용병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2]

기원전 338년, 마케도니아 왕국필리포스 2세는 카이로네이아 전투에서 승리한 후, 대부분의 그리스 도시 국가들을 포함하는 코린토스 동맹을 결성했다. 그러나 아기스 3세는 스파르타가 코린토스 동맹에 가입하는 것을 거부했다.[5] 이에 필리포스 2세는 라코니아 원정을 통해 스파르타의 영토 일부를 주변국에 넘겨주었다.[6]

기원전 338년, 필리포스 2세는 스파르타 영토의 일부를 메세네, 메갈로폴리스, 테게아, 아르고스에 넘겨주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기스 3세는 마케도니아에 직접 대항하기보다는 스파르타의 힘을 회복하고 기회를 기다리는 전략을 택했다. 스파르타는 기원전 335년 테베의 반란에도 참여하지 않았다.[10]

2. 2. 페르시아와의 동맹

기원전 333년, 아기스 3세는 에게해에서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지휘관 파르나바조스, 아우토프라다테스와 회담을 갖고, 마케도니아 왕국의 지배에 대항하여 스파르타가 반란을 일으키면 원조를 받기로 합의했다.[28] 페르시아는 아기스 3세에게 자금과 함선을 지원하여 반(反) 마케도니아 동맹을 강화하고자 했다.

같은 해 이수스 전투에서 페르시아가 패배하면서 아기스 3세의 계획은 차질을 빚게 되었지만, 그는 동생 아게실라오스크레타로 보내 스파르타의 세력을 확장하는 등 노력을 계속했다.[29]

2. 3. 마케도니아와의 전쟁

기원전 331년, 스파르타는 마케도니아에 대한 트라키아의 반란을 틈타 그리스-마케도니아 전쟁을 선언했다.[29] 아기스 3세는 스파르타 군과 이수스 전투에서 페르시아와 싸운 그리스인 용병 8,000명, 그리고 동맹군을 더해 보병 20,000명, 기병 2,000기를 밑돌지 않는 병력을 모아 스스로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30][31] 그는 코라고스 휘하의 마케도니아 군을 펠로폰네소스에서 물리치고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다른 동맹군(엘리스, 아카이아, 아르카디아)과 합류한 아기스는 메갈로폴리스를 포위했다.[32] 알렉산드로스 3세로부터 그리스를 맡았던 마케도니아 장군 안티파트로스는 40,000명 이상의 대군을 이끌고 메갈로폴리스를 구원하러 왔다.

2. 4. 메갈로폴리스 전투와 죽음

기원전 331년, 스파르타를 비롯한 그리스 도시 국가들은 마케도니아 왕국에 대항하여 전쟁을 일으켰다. (그리스-마케도니아 전쟁) 아기스는 스파르타군과 이수스 전투에서 페르시아 측으로 참전했던 그리스인 용병 8,000명, 그리고 동맹군을 합쳐 보병 20,000명, 기병 2,000기 이상의 병력을 모아 스스로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30][31] 그는 코라고스 휘하의 마케도니아 군을 펠로폰네소스에서 물리치고 메갈로폴리스를 포위했다.[32]

한편, 알렉산드로스 3세로부터 그리스를 맡았던 마케도니아 장군 안티파트로스트라키아에서 반란을 진압하고, 40,000명 이상의 대군을 이끌고 메갈로폴리스를 구원하러 왔다. 양군은 가우가멜라 전투와 같은 시기에 격돌했다. (메갈로폴리스 전투) 격전 끝에 마케도니아 군의 병력 수에 밀린 아기스 군은 패배했다. 아기스는 부상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싸우다 전사했다.[33][34] 이 패배로 스파르타가 마케도니아를 상대로 일으킨 반란은 실패로 끝났다.

아기스는 자식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동생 에우다미다스 1세가 다음 왕위를 계승했다.

참조

[1] 서적 Hellenistic and Roman Sparta
[2] 서적 Hellenistic and Roman Sparta
[3] 논문 Agis III
[4] 논문 Agis III
[5] 서적 Sparte
[6] 논문 The Extent of Spartan Territory
[7] 서적 Sparte
[8] 서적 The Hellenistic Peloponnese
[9] 서적 The Hellenistic Peloponnese
[10] 논문 Agis III
[11] 논문 Agis III
[12] 논문 Euthycles: One or Two Spartan Envoys?
[13]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s://web.archive.[...] Little, Brown and Company 2008-05-23
[14] 웹사이트 Agis III https://www.livius.o[...]
[15] 서적 Arrian ii. 13
[16] 서적 Diodorus Siculus xvi. 63, 68, xvii. 62
[17] 서적 c. Ctesiph.
[18] 서적 Curt. vi. 1
[19] 서적 Justin, xii. 1
[20] 서적 World History
[21] 서적 II. 13
[22] 서적 XVII. 62
[23] 서적 XVII. 63
[24] 서적 IV. 1. 39
[25] 서적 165
[26] 서적 XVII. 63
[27] 서적 VI. 1. 13-15
[28] 서적 II 13
[29] 서적 XVII 62
[30] 서적 XVII 63
[31] 서적 IV. 1. 39
[32] 서적 165
[33] 서적 XVII 63
[34] 서적 VI 1. 1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